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외생변수2

외생변수의 통제방법 (제거,균형화,상쇄,무작위화), 정성조사 (투사법, 민족지학적 연구, 온라인리서치) 외생변수의 통제방법 (제거,균형화,상쇄,무작위화) 외생변수의 통제(Control)란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사이에 다른 변수가 개입되어 해석상의 오류를 일으키게하는 가능성을 차단 또는 제거 하는 등의 행위를 말한다. ​ 외생변수의 통제 방법 ​ 1. 제거 (Elimination) : 외생변수가 애초에 실험상황에 개입되지 않도록 함 - 예시) 20대 남성의 구매성향을 조사하려고 할 경우, 군 입대로 이탈할 가능성이 있는 군미필자를 실험대상에 포함시키지 않는다. ( "소멸"이라는 발생가능한 외생변수를 사전에 제거함 ) ​ 2. 균형화(Matching) : 예상되는 외생변수의 영향을 동일하게 받을 수 있도록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설계함 ​ 3. 상쇄 (Counter balancing) : 실험집단에 영향을 주는 .. 2023. 2. 19.
외생변수의 종류 (우성시측통편소), 조사디자인 (탐험조사, 기술조사, 인과관계조사) 외생변수의 종류. (실험의 내적타당성을 저해하는 요인) ​ 우성시측통편소로 외우면 쉽다.​ 1. 역사적 오염 ( = 우발적 사건 ) - 실험기간 동안에 우연히 발생하는 사건이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 - 예) 광고모델의 스캔들 발생 ​ 2. 성숙효과 - 시간의 경과에 의해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효과에 따라 독립변수의 효과 측정이 어려움 - 예) 어린이들의 성장 ​ 3. 시험효과 : 첫 번째 측정에 의한 학습결과가 그 효과를 왜곡시키는 것 [실험 디자인 : O1 -> X -> O2] 1) 주시험효과 (O1 의 학습효과가 O2 에 영향을 미치는 것) - 예) 영어학원의 효과를 처치 전 후 토익 점수로 측정하려고 할 때, 처치 전 토익시험를 본 후 시험요령을 터득한 것이 처치 후 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 2).. 2023. 2. 19.
반응형